과기정통부,「2023 방송통신광고비 조사」결과 발표
매체별 점유율은 온라인 52.7%, 방송 24.3%, 인쇄 12.9%, 옥외 6.5% 순으로, 온라인 광고비가 전체 광고비 시장을 견인
과기정통부,「2023 방송통신광고비 조사」결과 발표
FM교육방송 - FCN | fmebsnews
매체별 점유율은 온라인 52.7%, 방송 24.3%, 인쇄 12.9%, 옥외 6.5% 순으로, 온라인 광고비가 전체 광고비 시장을 견인
과기정통부,「2023 방송통신광고비 조사」결과 발표
매체별 점유율은 온라인 52.7%, 방송 24.3%, 인쇄 12.9%, 옥외 6.5% 순으로, 온라인 광고비가 전체 광고비 시장을 견인
과학기술정보통신부(장관 이종호, 이하 ‘과기정통부’)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(사장 이백만, 이하 ‘KOBACO’)는 2022년도 국내 방송통신 광고비 시장 현황과 2023~ 2024년 전망을 담은 「2023 방송통신광고비 조사」 결과를 발표했다.
본 조사는 국내 방송통신광고 시장 현황 및 변화 양상을 파악해 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(통계청승인, 제920021호)이다.
방송통신광고비 조사는 국내 소재 매체사를 대상으로 매체별·광고유형별 광고비 현황 및 전망과 광고업무 종사자 현황을 조사한다.
<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개요 >
(대상) 방송, 온라인, 신문, 옥외 등 광고매체를 운용해 고매출이 발생한 사업체 (내용) 매체별·세부유형별 광고비 현황 및 전망, 광고업무 종사자 현황 (기준시점: 2022년) (수행기관)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(KOBACO) (조사 및 보정기간) 2023년 7~12월 |
총 광고비
2022년 기준, 국내 방송통신 광고비는 16조 5,203억 원(GDP의 0.77% 수준)으로, 전년(15조 5,174억 원) 대비 6.5% 증가했다. 이는 국제 이벤트(’22년 카타르월드컵) 특수와 디지털 광고 확대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.
![]() 2023년 광고비는 조사 대상 사업체가 응답(7~10월)한 예상 광고비로, 실제 광고비는 달라질 수 있음 |
매체별로 보면 ▲온라인 광고비가 8조 7,062억 원으로 전체 중 가장 많은 52.7%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, ▲방송 광고가 4조 212억 원으로 24.3%, ▲인쇄 광고가 2조 1,277억 원으로 12.9%, ▲옥외 광고가 1조 693억 원으로 6.5%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![]() |
한편, 2023년 전체 광고비는 미국발 고금리, 경제 성장 둔화 영향으로 16조 74억 원(’22년 대비 ▲5,129억 원 감소)으로 집계될 것으로 예상된다.
온라인광고
2022년 기준, 온라인 광고비는 8조 7,062억 원으로 전년(8조 36억 원) 대비 8.8% 증가했다.
※ 2023년 광고비는 조사 대상 사업체가 응답한 예상 광고비로, 경제상황 등에 따라 실제 광고비는 달라질 수 있음
매체별로는 ▲모바일 광고비가 전년 대비 9.3% 증가한 6조 8,035억 원, ▲PC 광고비는 6.9% 증가한 1조 9,027억 원으로 조사되었다.
한편, 2023년 온라인 광고비는 9조 216억 원(’22년 대비 3,154억 원 증가, +3.6%)으로 추정되며, 증가율은 둔화(’22년 +8.8%, ’23년e +3.6%)될 것으로 보인다.
방송광고
2022년 기준, 방송 광고비는 4조 212억 원으로 전년(4조 531억 원) 대비 0.8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
사업자별로는 ▲지상파 TV(1조 3,762억 원, +1.2%), ▲PP(2조 1,524억 원, ▲1.4%), ▲라디오(2,540억 원, ▲2.2%), ▲SO(1,096억 원, +0.6%), ▲IPTV(961억 원, ▲10.2%), ▲위성방송(307억 원, ▲7.0%) 등 방송 사업자 대부분의 광고비가 감소했다.
한편, 2023년 방송 광고비는 3조 3,076억 원(’22년 대비 7,136억 원 감소, ▲17.7%)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.
인쇄·옥외·기타 광고 등
2022년 기준, 인쇄 광고비는 2조 1,277억 원으로 전년(2조 208억 원) 대비 5.3% 증가했으며, 옥외 광고비는 1조 693억 원으로 전년(9,302억 원) 대비 15.0%, 기타 광고비는 5,959억 원으로 전년(5,097억 원) 대비 16.9% 각각 증가했다.
인쇄 매체별로는 ▲신문이 전년 대비 5.5% 증가한 1조 8,014억 원, ▲잡지는 전년 대비 4.3% 증가한 3,263억 원으로 집계됐고, 옥외 매체별로는 ▲인쇄형이 전년 대비 12.9% 증가한 7,190억 원, ▲디지털사이니지가 전년 대비 19.4% 증가한 3,503억 원으로 집계됐다.
한편, 2023년 인쇄 광고비는 1조 9,208억 원(’22년 대비 2,069억 원 감소, ▲9.7%), 옥외 광고비는 1조 1,466억 원(’22년 대비 773억 원 증가, +7.2%), 기타 광고비는 6,108억 원(’22년 대비 149억 원 증가, +2.5%)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.
본 조사로 파악된 국내 광고 업무 종사자 수는 2023년 기준, 총 24,268명으로 신문·잡지 등 인쇄 광고 시장의 종사자가 전체 종사자의 47.7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.
방송통신 광고비 조사 보고서는 과기정통부 누리집(www.msit.go.kr), 코바코 방송통신광고통계시스템(adstat.kobaco.co.kr)에서 이용할 수 있다.
fmebsnews fmebsnews@fmebs.com
<저작권자 © FM교육방송 - FCN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